✅ 배터리란?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전기에너지로 방출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→ 이동성, 무선성, 휴대성 확보에 필수 요소 ✅ 배터리 종류와 특징 🔋 1️⃣ 리튬이온(Li-ion) 배터리 특징 : 에너지 밀도가 높아 같은 무게·부피 대비 더 많은 전기를 저장할 수 있어요.메모리 효과가 없어서 충전/방전 패턴에 따른 성능 저하가 거의 없습니다.자기 방전율이 낮아 장기간 보관 시에도 전력 손실이 적어요. 단점 : 고온, 과충전 시 화재 위험이 있어 보호 회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. 용도 : 노트북, 스마트폰, 전동공구, 전기자동차(EV) 등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 가장 널리 사용 🔋 2️⃣ 리튬폴리머(Li-Po) 배터리 특징 : 젤 타입 전해질을 사용해 얇고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 수 있어요.가볍고, 에너지 밀도도 높은 편. 리튬이온보다 약간 안전성이 개선됨.내부 저항이 낮아 순간 출력이 좋음. 단점 : 제조 단가가 리튬이온보다 높고, 과충전 시 여전히 화재 위험 존재. 용도 : 드론, RC(무선조종) 제품, 웨어러블 디바이스, 초박형 노트북 등 형태의 자유로움이 중요한 제품 🔋 3️⃣ 니켈수소(NiMH) 배터리 특징 : 리튬계 배터리보다는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저렴합니다.고방전이 가능해서 일시적으로 높은 전류가 필요한 장치에 적합.메모리 효과가 있어 충전 습관이 중요. 단점 : 자가 방전율이 높아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전력 손실 발생. 용도 : 디지털카메라, 장난감, 가전용 충전식 배터리, 하이브리드 차량 등 🔋 4️⃣ 납축전지(Lead-acid) 특징 : 역사가 오래된 기술로, 단가가 매우 저렴합니다.출력이 높고, 일시적 고방전이 가능하지만, 에너지 밀도는 낮음 (무겁고 부피 큼).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수명도 짧은 편. 단점 : 무겁고 환경오염 가능성 (납 사용), 반복 충방전에 취약. 용도 : 자동차 시동용 배터리, UPS(무정전전원장치), 산업용 기기 🔋 5️⃣ 고체전해질(Solid-state) 배터리 특징 :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 위험이 거의 없음.고밀도, 장수명, 고안전성이 가능하나 아직 상용화가 초기 단계. 단점 : 기술 개발 비용이 높고 생산 단가가 비쌈. 용도 : 전기차 차세대 배터리, 항공우주, 프리미엄 모바일 기기 (현재는 개발 중인 분야가 많음) ✅ 설계 시 주의할 점 1️⃣ 전압/전류 요구사항 파악→ 배터리 용량, 전압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2️⃣ 과충전/과방전 보호회로 설계→ 배터리 수명과 안전 확보3️⃣ 온도 관리→ 고온/저온 환경에서 성능 저하나 폭발 가능성 주의 → 방열 설계 고려4️⃣ 충전 방식 고려→ 적절한 충전 프로파일 (CC/CV 등) 적용5️⃣ 기구 설계(패키징)→ 충격, 진동,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구조 설계6️⃣ 배터리 팩 밸런싱→ 셀 간 전압 균형 유지 (BMS: Battery Management System 활용)7️⃣ 법규/인증 확인→ KC, UL, CE, UN38.3 등 인증요건 반영 무선충전 배터리 미리 예측해보기▶